XPS 9315
그렇지만 제 주관적으로 마음대로 리뷰를 작성했어요.
부족한 글이지만 재미있게 읽어주시면 감사할게요
이번에 리뷰하는 노트북은 DELL XPS 13 9315 라는 모델명을 가진 인텔 12세대 엘더레이크 i7-1250u 노트북 인데요.
마침 제가 출장이 잦은 시기에 노트북을 받아서 사무실 뿐 아니라 출장지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하면서 리뷰글을 틈틈이 작성했어요.
본 리뷰는 DELL 공식총판사인 오진상사에서 제품을 대여받아 작성했어요.
그러나 리뷰 내용에 대하여는 오로지 제 주관적인 사용 경험으로 작성하였음을 알려드려요.
P프로세서를 장착한 XPS 9320 과는 같은 13 인치 급의 노트북 이지만 9315 는 9320 과 디자인 도 다르며, 장착한 CPU 도 다릅니다.
9320 은 뭔가 실험적인 색채가 있으면 9315 는 기존의 XPS 9310 을 계승하는 듯한 느낌을 주는 노트북 인데요.
일단, 제가 리뷰하는 XPS 9315 는 9315 라인업 중에서 최상위 라인인 WP06KR 인데요.
13.4 인치 4K UHD+ 해상도에 터치 디스플레이 이며, 램은 LPDDR5 5200MHz 인데요. 가히 13 인치 급의 울트라북 중에서는 최상위 스펙 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램이 32GB 나 되니 차고도 넘치는 용량이네요. 램은 많을 수록 좋다고 했으니 그 어떤 멀티태스킹 작업을 하더라도 쾌적하게 실행돼요.
일단 , XPS 13 9315 WP06KR 모델의 상세 스펙은 다음과 같아요.
모델명 : XPS 13 9315 WP06KR
CPU : 인텔 12세대 i7-1250U ( 10 코어, 2개의 성능코어, 8개의 효율코어, 12 스레드, TDP 9W)
내장 그래픽 : Intel Iris Xe Graphics
RAM : LPDDR5 5200MHz , 온보드 32GB
SSD : 마이크론 3460 NVME SSD 1TB (온보드 교체불가)
디스플레이 : 13.4인치, UHD+ (3840 X 2400) 터치 디스플레이, 500니트 밝기
사운드 : Waves MaxxAudio 튜닝 스피커 , 총 4W 출력
배터리 : 51 WHr
충전어댑터 : 45 W 출력, C 타입 충전기
무게 : 1.17 kg
포트 : 2개의 USB TYPE C ( 썬더볼트 4, PD 충전 및 4K 디스플레이 외부출력 가능)
외형 : 가로 29.5 cm x 세로 19.9 cm x 두께 1.4 cm
운영체제 : Windows 11 Pro
앞서 언급했다 시피 CPU는 인텔의 12세대 엘더레이크 i7-1250U 프로세서 인데요.
12세대 엘더레이크는 11세대 와는 다르게 고성능 코어(Performance Core) + 고효율 코어(Efficient Core)로 조합된 구성을 가져요. 줄여서 그냥 P코어 , E코어 라고 부르고 있지요.
각 작업시 부하량에 따라 P코어 와 E코어에 명령이 알맞게 할당되어, 불필요한 전력 낭비 없이 최적의 전력효율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하이브리드 구조라고 할 수 있어요.
12세대 인텔 U 프로세서의 구조인데요. 썬더볼트4 는 4개, PCIe Gen4 SSD 는 2개 까지 지원됨을 볼 수 있어요.
이런 구조는 애플의 M1 에도 채용이 되었는데 인텔도 12세대 부터 채용을 하고 있으니 하이브리드 구조가 시스템의 운영에 고성능 과 고효율 이라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좋은 선택지 라고 여겨지는 것 같아요.
아무튼 , 인텔 12세대 CPU 중에서도 몇가지 나눠지는데 DELL XPS 제품군의 경우 고성능 노트북 에 장착되는 H 프로서 가 XPS 15 , 17 에 장착되고, XPS 9320 은 울트라북 계열에서도 좀 더 성능을 중시하는 P 프로세서 가 장착되며, 9315 에는 성능보다 효율을 중시하는 U 프로세서가 장착된다는 차이가 있겠습니다.
9315 에 장착된 1250U 프로세서는 효율을 중시하는 U 프로세서 중에서도 TDP 가 가장 낮은 9W 를 가진 프로세서 인데요. 물론 최대 부스트 시에는 29W 까지도 올릴 수 있지만 잠깐 몇초 정도라고 보시면 되겠네요.
실제로 9315 도 29W 까지 부스트 업 되더군요.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벤치마크 부분에서 기재할게요
외형
두말할 나위 없이 윈도 노트북 에서는 최고를 자랑하는 외형 퀄리티와 4면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그리고 13인치 급에서는 가장 컴팩트 한 크기
패키지는 고급스럽게 되어 있으며, 패키지를 오픈하게되면 아래와 같은 구성품이 있어요.
XPS 9315 의 구성품 인데요. 스카이블루 색상의 본체 와 45W 충전기.
그리고 이어폰콤보 잭이 없므로 USB C TO 콤보 변환 어댑터가 있고 , USB C TO A 어댑터 가 있어요.
이 모델의 색상은 스카이블루 색상으로서 약간 푸른 기운이 감도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외형을 갖고 있어요.
Previous imageNext image
조명과 각도에 따라 어떨땐 블루처럼 , 어떨땐 실버 처럼 보이는 군요.
아래 사진을 보면 제가 갖고 있는 XPS 9310 모델과 같이 찍었는데 외형이나 크기는 거의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왼쪽이 XPS 9315 , 오른쪽이 XPS 9310 인데요.
앞에서 언급했다 시피 9310 의 후속 다운 외형을 갖고 있어요. 9320 이 워낙 실험적인 디자인으로 출시되었기에 전통적인 XPS 디자인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9315 가 더 친숙하게 느껴지겠네요. 저도 마찬가지구요.
알루미늄 외형이며 노트북을 펼쳐보면 내부도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상판은 매우 튼튼해요.
상판의 좌우 끝을 잡고 비틀어도 잘 비틀어지지 않을 만큼 매우 견고합니다. 라는 느낌을 바로 받을 수 있어요.
노트북의 하우징은 13인치 급 의 노트북 중에서는 가장 튼튼하다고 할 수 있어요.
상판 디스플레이도 알루미늄합금으로 되어 있어 매우 튼튼해요.
키보드의 키캡은 좀 진한 스카이블루 인데요. 조금 하늘색에 가까운 편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색이 있기에 은색 키캡보다는 키캡에 새겨진 문자 가독성이 훨씬 좋아요.
물론 이전 9310 의 검은색 키캡이 문자 가독성에는 가장 좋긴 하지요.
아마, 9315 를 설계할 때 키캡 마저 실버 색상이면 가독성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여 이렇게 색상을 넣은게 아닐까 추측해보는데, 좋은 설계 인거 같아요.
얇은 노트북임에도 키보드 타이핑 감은 괜찮은 편인데요.
타이핑 감이 매우 좋다고는 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슬림한 울트라북에서는 우수한 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키피치가 너무 깊지 않기 때문에 타이핑감이 부족한 감은 있을 수 있지만, 저는 이러한 키보드가
지금 이 리뷰글을 XPS 9315 로 타이핑하고 있는데 타이핑의 불편함은 없어요.
터치패드는 제법 큰 크기에 속하는 편인데요. 물론 맥북 정도로 거대하지는 않지만 윈도 노트북에서는 제법 큰 편이라고 할 수 있어요.
글래스 재질로서 스무스 하게 터치 할 수 있는 재질인데요. 그리고, 프리시전 터치패드로서 사용감은 좋은 편에 속해요.
9310 과 외형 비교
이전 버전을 계승한 외형 이지만 스카이 블루 색상과 노트북 오픈시 카본이 아닌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서 차별화
9315 는 이전 모델인 XPS 9310 과 외형이 거의 동일해요.
외형 의 스펙상 수치도 거의 비슷해요. 매우 조금만 차이 날 뿐이에요.
아래 사진 을 보시면 외형은 거의 비슷합니다.
다만, 노트북의 상판을 오픈하게되면 좀 다릅니다.
왼쪽은 9315 모델인데요. 외형과 거의 비슷한 스카이 블루 색상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 재질의 팜레스트와 상판을 갖고 있어요. 반면 9310 은 내부 재질이 블랙 색상의 카본 이에요.
외관으로 볼때는 색상만 조금 다르고 똑같이 생긴 듯 한 반면에 내부를 보면 확실히 다르게 보이네요.
포트는 9310 보다 9315 가 더 간소화 되었네요.
9310 에는 마이크로 SD 카드와 이어폰콤보 잭이 있었는데 9310 에서는 모두 없어지고 C 타입 포트 2개만 남았어요.
이 부분은 조금 아쉽게 느껴지긴 해요.
물론, 저는 항상 C 타입 허브를 휴대하고 집이나 사무실에서는 썬더볼트 독을 사용하므로 특별히 아쉽지는 않아요만, 아무튼 없는것 보다는 있는게 낫지요.
아래가 XPS 9315 , 위는 XPS 9310 인데요.
아래가 XPS 9315 , 위는 XPS 9310 인데요.
아랫면은 아래 사진처럼 매우 깔끔하게 만들어져 있어요. 방열구는 양옆 으로 나있네요.
디스플레이 , 사운드
두말할 나위 없이 좋은 4K UHD+ 터치 디스플레이와 정말 놀랍도록 훌륭한 사운드
아무래도 XPS 노트북들의 압권은 디스플레이라고 할 수 있지요.
특히나 디스플레이 베젤은 위아래, 양옆면 모두 슬림베젤로서 노트북 화면을 볼때의 몰입감은 노트북 들 중에서는 최고라고 할 수 있어요.
4면 베젤리스 디스플레이 인데요. 13인치 급의 노트북 중에서는 가장 컴팩트 해요.
이런 4면 베젤리스는 맥북도 따라올 수 없는 XPS 만의 매력인데요.
또한 4면 베젤리스 이라서 동급의 디스플레이를 가진 노트북 들 중에서는 가장 컴팩트 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노트북을 펼쳐서 사용할 때의 사용감은 노트북중에서 XPS 가 아마 최고가 아닌가 생각해요.
또한 제가 리뷰하고 있는 9315 WP06KR 모델은 UHD+ 즉, 3840 x 2400 해상도 인데요.
노트북이 게이밍 지향이 아니고 비즈니스 목적이라서 60Hz 주사율을 갖고 있어요.
어찌보면 13인치 급에서는 과한 해상도인데, 사실 1920 x 1200 정도만 되어도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없기 때문인데요.
그러나 13인치라도 FHD+ 해상도와 UHD+ 해상도 노트북을 보면 확연히 UHD+ 해상도를 가진 디스플레이가 훨씬 더 선명하고 깊이있는 색감이 느껴지는 것은 사실인데요.
이왕이면 다홍치마 라고 같은 값이면 UHD+ 해상도 쪽이 더 좋아보이는 것은 사실인데요.
다만, 배터리 시간에서는 고해상도 노트북이 불리하므로 긴 배터리 시간을 선호할 경우 FHD+ 해상도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죠.
밝기는 500 니트로서 실내에서는 아무 문제 없이 사용가능하고,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밝기를 갖고 있어요.
햇빛이 나고 있는 외부에서 사용할 때도 크게 문제는 없었어요. 물론 그늘이 필요하긴 합니다.
저는 원래 너무 밝게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고 사용하는 편은 아니라서, 현재 50% 밝기로 설정하고 사용해도 충분하군요.
또한 FHD+ 모델과는 다르게 UHD+ 모델은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인데요. 그러다 보니 고릴라글래스로 디스플레이를 덮어 놓았죠. 안티글레어 코팅이 되어있긴 하지만 약간의 빛반사는 있어요.
하지만, 저는 터치가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좋아해요.
혹자는 노트북에 터치는 단 1도 가치 없다는 분도 있지만, 저는 노트북을 사용할 때 터치도 유용하게 사용하는 편인데요. 특히나 외부에서 사용할 때 상대방과 노트북 화면을 보면서 대화시에 터치는 매우 유용합니다.
아마, 여러분도 화면 보다가 자기도 모르게 화면을 터치하려 할때가 있었을 거에요.
터치가 된다는 것은 분명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으로서 노트북 활용도를 더 높여 주는 요인인데요.
XPS 9315 화면 터치
재생 수29
00:00 | 00:26화질 선택 옵션자동
접기/펴기
XPS 9315 화면 터치
제가 이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가장 놀란 부분은 사운드 인데요.
크게 기대하지 않았는데 사운드는 제가 지금껏 사용해 본 노트북 중에서 가장 크고 소리가 좋았어요.
심지어는 XPS 9710 보다 사운드가 더 크고 훌륭했어요.
체급의 차이가 있으니 베이스 영역은 살짝 부족했지만 사운드의 퀄리티는 더 좋게 들리더군요.
제가 맥북이 있었으면 맥북과 비교했겠지만, 일단 XPS 9310 과 비교했어요.
XPS 9310 도 울트라북 중에서 사운드는 최고 수준이라고 생각했었는데 XPS 9315 가 더 좋군요.
사운드 만으로도 구매 가치가 있다고 생각될 정도로 훌륭한 사운드 였어요.
아래는 XPS 9310 과의 사운드 비교 동영상인데요. 그냥 휴대폰으로 촬영하여 그런지 여기서는 크게 차이나지는 않는 것처럼 들리는게 아쉽긴 해요.
13인치 급에서 뿐 아니라 윈도 노트북 중에서는 가장 훌륭한 사운드
XPS 9310 vs XPS 9315 사운드 비교
재생 수29
00:00 | 01:37화질 선택 옵션자동
접기/펴기
XPS 9310 vs XPS 9315 사운드 비교
충전어댑터,배터리
배터리 타임 : 4K 유투브 동영상 을 밝기 60% 로 연속재생 했을 때 약 6시간 30분 정도 , 일반적인 오피스 작업시 8시간 정도
FHD+ 해상도 모델은 더 오랜 시간 배터리 효율
어댑터는 45W 출력으로서 매우 작고 아담해요.
실제로 제가 갖고 있는 65W PD 충전기와 비교해 봐도 더 작은 것을 알 수 있어요.
45W 배터리를 65W PD 충전기와 비교해봤어요.
45W 어댑터로 충전해도 65W PD 충전기로 충전해도 노트북에는 45W 로 충전돼요.
정품 어댑터에 전원크로버케이블만 없었으면 정말 컴팩트하게 들고 다닐 수 있을 뻔 했네요.
충전은 노트북의 양쪽에 있는 썬더볼트4 겸용 TYPE C 포트를 통하여 가능해요.
배터리는 51Wh 인데 배터리 시간은 유투브 4K 해상도 동영상을 60% 밝기에 30% 사운드로 연속 재생해봤더니 약
6시간 30분 정도 재생되고 절전모드로 들어갔어요.
얼마 않된다고 생각하실지도 모르겠지만 4K 해상도에 60% 밝기니깐 상당한 밝기로 테스트 해본것이고 제 경험에는 배터리 타임이 제법 길게 갔다고 생각해요.
일반적인 오피스 작업 , 즉 파워포인트 와 크롬으로 웹사이트를 열어서 작업을 번갈아할 때는 1시간 사용해보니 약 12% 정도 감소했어요.
유추하자면 일반작업시에는 8시간 정도는 견딘다고 할 수 있겠네요.
이정도면 4K 해상도 노트북으로서 배터리 타임은 괜찮다고 생각돼요.
아마 FHD+ 해상도 모델이라면 1~2시간 정도는 더 버텨주지 않을까 생각해요.
유튜브 리뷰 중에서 Andrew Marc David 의 영상을 보면 FHD+ 모델에서 150니트 밝기에서 웹서핑 시나리오로 측정해보니 무려 14시간 이 간다고 해요.
150 니트로 웹서핑만 종일 하는 것은 일반적인 노트북 사용시나리오는 아닌것 같긴 하지만 이정도의 배터리 효율성을 갖고 있다는 결과로 생각하게되면 되겠네요.
원래 배터리 타임은 4K+ 해상도 보다 FHD+ 모델이 더 좋을 수 밖에 없므로 배터리 타임이 중요한 분은 FHD+ 모델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해요.
외부 포트
깔끔하고 고급스런 외형을 위해 다 포기하고 썬더볼트 단자 2개만..
외부 포트에 대해 살펴볼게요.
외부 포트는 왼쪽 에 썬더볼트4 를 겸한 C 타입 포트 하나 , 오른쪽 역시 썬더볼트4 를 겸한 C 타입 포트 한개 포트 가 하나 있어요.
이 썬더볼트 포트를 이용해서 PD 충전이 가능하고, 4K 디스플레이 출력도 가능해요.
여기서 유념하실 점은 일반적인 TYPE C 허브에 있는 HDMI 포트를 이용해서 외부출력을 하게되면 외부모니터에 4K 해상도 30Hz 만 출력되지만, C TO HDMI 케이블을 이용하게되면 외부모니터에 4K 60Hz 로 출력 가능하다는 점인데요.
물론, C 타입 허브도 4K 60Hz 출력을 지원하게되면 되는데 일반적으로 보면 "4K 60Hz 지원" 이라고 제품 스펙에 명시해 놓지 않으면 30Hz 로만 출력되더군요.
만약 TYPE C 포트를 이용해서 4K 모니터 출력을 원하신다면 C TO HDMI 케이블을 구매하여 사용하시기 바래요. 케이블은 “4K 60Hz 지원” 이라 하는 스펙을 꼭 확인하셔야 해요.
썬더볼트 4 단자에 제가 썬더볼트 외장 SSD 를 연결해보니 잘 연결되고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에서는 속도가 아래 그림처럼 나왔어요. 충분히 빠른 제 속도가 나온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썬더볼트 4 독도 잘 연결되었으며 , 사용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어요.
다만,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썬더볼트4 단자만 2개 제공하는 것은 이전 버전인 9310 보다 오히려 외부 연결 단자가 적어진 것으로서 좀 아쉬움이 남습니다.
다음 버전에서는 최소한 USB A 단자 하나 정도는 살려줬으면 하는 바램이 있어요.
램, SSD
위의 스펙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이 노트북은 32 GB 램을 갖고 있어요.
온보드 로 32GB 메모리가 납땜 되어 있기에 램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해요.
램이 32GB 나 되므로 아무래도 각가지 오피스 프로그램에 크롬, 엣지 , 팀스 등 어플리케이션을 한꺼번에 많이 실행하여 사용하는 저같은 사람에게도 램부족으로 버벅이는 현상을 전혀 없었어요.
좀 과한 느낌도 있지만 램은 다다익램 이라 하는 말이 어울리는 부분이에요.
SSD 는 마이크론 의 NVME SSD 1TB 를 장착하고 있어요.
SSD 도 온보드 이라서 업그레이드 할 여지는 없습니니다.
SSD 의 속도는 아래와 같아요.
온보드 라서 그런지 크리스탈디스크인포 에서 PCIe 3.0 인지 4.0 인지 정보가 나오지는 않아요.
그렇지만 속도로 봐서는 3.0 인것 같긴 해요.
4.0 에 비하게되면 속도가 안나오긴 하지만 , 사실 이정도만 되어도 사용자 입장에서는 속도차를 느끼기란 쉽지 않아요. 충분히 빠른 속도이니까요.
크리스탈디스크 인포 와 마크 에서 확인한 SSD 의 정보와 속도 인데요. 온보드 SSD 라는 것이 좀 아쉽긴 해요.
My Dell
XPS 는 전통적으로 POWER MANAGER 라는 어플리케이션 에서 성능이나 배터리 충전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이게 최근에는 My Dell 이라 하는 어플리케이션 으로 통합되었어요.
아래처럼 My Dell 에서는 여러 가지 시스템 설정에 연관된 메뉴가 있어요.
탐색 : 윈도 배경화면 , 색상 , 시스템 설정 등으로 바로가기
사용자 감지 : 사용자가 노트북 앞에 있는지 감지하여 자동으로 잠금을 실행 한 경우 혹은 로그온 메뉴를 활성화
Cinema : Cinema 컬러 , 사운드 , 돌비 비전 설정 등
뛰어난 성능 : 배터리 충전 모드, 열 관리 모드 등 설정
필수 패키지 : 맥아피 바이러스 프로그램 , 각가지 XPS 액세서리 몰로 이동
Support Assist : Support Assist 유틸을 실행해서 소프트웨어나 드라이버 업데이트, 하드웨어 스캔, 파일정리 , 성능조정 등의 시스템 작업 수행
사용자 감지 는 위 그림과 같은 기능이 있어요.
이런 식으로 되어 있으며 아무래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뛰어난 성능" 일 것인데요.
뛰어난 성능 에서는 아래 그림처럼 충전 상태와 충전모드를 설정하며, 열 모드를 설정할 수 있어요.
열 모드 에서 XPS 의 성능 모드를 설정할 있는데 "초고성능" , "최적화됨" 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메뉴이에요.
디폴트 값은 "최적화됨" 인데요.
예전 9310 까지만 해도 "초고성능" , "최적화됨" 모드는 실제 성능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는데 , 이번 9315 에서는 제법 차이가 나더군요.
성능 차이는 아래 [ 성능 ] 부분에 기재할게요
성능
9W TDP 의 i7-1250U 프로세서 의 성능은 과연 어느 정도일지..
테스트 환경은 노트북에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윈도11 Pro 버전에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진행했어요.
벤치마크 점수가 할 때 마다 틀려지므로 각각 3번씩 테스트 하여 가장 낮은 값과 높은 값은 제외하고 중간 점수를 기재했어요.
또한 MyDell 에서 열 모드 는 "초고성능" 으로 설정했어요.
씨네벤치 R23 에서는 멀티코어 6983 점, 싱글코어 1531 점이 나왔어요.
"초고성능 모드" 에서 나온 점수인데요. 최고 점수는 7300 점 도 나왔었어요.
이전버전인 9310 의 i9-1195G7 은 멀티 4999, 싱글 1435 가 나왔는데 이에 비하게되면 비록 9W 정규 TDP 의 U 프로세서 지만 확실히 성능은 더 좋아졌다 라고 볼 수 있어요.
씨네벤치 를 수행하는 동안 CPU 의 온도는 최대 100 도까지 나오지만 그것은 매우 순간 몇초 정도 인데요.
씨네벤치 R23 을 "초고성능" 모드에서 실행하고 있을때 TDP 와 CPU 온도 인데요.
CPU-Z 에 있는 벤치 에서는 멀티쓰레드 3783 점, 싱글쓰레드 637 점으로 나왔어요.
긱벤치5 로 측정했을 때, 멀티코어는 6969 점, 싱글코어는 1634 점 으로 나왔어요.
참고로 MyDell 에서 "최적화됨" 모드로 설정했을 때 씨네벤치 R23 점수와 온도는 아래와 같아요.
"최적화됨" 모드로 설정했을 때 씨네벤치 R23 점수와 온도 인데요.
i7-1260P 프로세서를 장착한 9320 이 씨네벤치 R23 기준 멀티코어 약 9000 점대가 나오는 것을 보면 아무래도 U 프로세서를 장착한 9315 가 성능은 조금 낮게 나오지만 배터리 타임에서는 유리해요.
두 모델이 각자의 장점을 갖고 있다는 것이겠지요.
이번에 내장 Intel Iris Xe 그래픽의 벤치마크를 진행해 볼게요.
내장 그래픽은 인텔 11세대와 같므로 성능의 증진은 없어요.
3DMARK FireStrike 은 그래픽점수 3757 점, 총점 3357 점 인데요.
그리고, TimeSpy 는 그래픽점수 1137점, 총점 1268 점 이네요.
Previous imageNext image
이게 어느 정도인지 제가 즐겨하는 디아블로 II 레저렉션을 플레이 해봤어요.
게임 해상도는 1920 x 1200 으로 했으며 옵션은 별도로 건드린게 없어요.
디아블로 II 레저렉션 플레이
재생 수14
00:00 | 01:07화질 선택 옵션자동
접기/펴기
디아블로 II 레저렉션 플레이
대략 40 프레임 이상은 나오므로 저는 플레이 하는데 크게 어려움은 없었어요.
4K 해상도로 설정하게되면 10프레임 대가 나와서 도저히 플레이 할수가 없었어요.
해상도만 타협하게되면 어느 정도 게임도 즐길 수 있어요.
그런데 이 XPS 에는 썬더볼트 단자가 있지요.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닐지 모르겠지만, 저는 썬더볼트 eGPU 를 잘 사용하고 있는 입장이라 RTX 3080 을 장착한 레이저코어 X 썬더볼트 eGPU 를 연결해 봤어요.
FireStrike 그래픽점수는 30034 점, TimeSpy 는 그래픽점수 14103 점이 나오네요.
썬더볼트 eGPU 가 있다면 이 정도의 그래픽 성능 증진은 즐길 수 있다라는 부가적인 정보로 알아주시면 되겠네요.
RTX 3080 을 장착한 eGPU 를 연결하여 3DMARK 벤치마크 실행해 봤어요.
XPS 답게 소음은 매우 작습니다.
씨네벤치를 실행해보면 처음에는 거의 소음이 없다가 벤치마크 중반쯤에야 팬소음이 들립니다. 그 소음도 크지 않구요.
원래 이렇게 설계된 제품이라고 보면 되겠지요. 고성능보다는 저소음 에 더 포커싱한 노트북 이라 하는 것을 이해하게되면 되겠네요.
"초고성능" 모드 기준으로 씨네벤치 R23 멀티코어 6983 점, 싱글코어 1531 점
온도는 73도 , TDP 는 17W 정도 유지
끝으로 이 제품의 장단점을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어요.
좋은 점
윈도 노트북 중에서 최고를 자랑하는 빌드 퀄리티
UHD+ 해상도 , 터치 디스플레이 13인치 노트북 중에서는 최고의 퀄리티를 자랑
밝기 500니트에 달하는 고화질 디스플레이
4면 베젤리스 로서 노트북 사용시 최고의 사용감
탁월한 배터리 시간
45W 소형 충전기를 지원해서 탁월한 휴대성
훌륭한 사운드 성능 (소리가 크면서도 맑음)
낮은 팬소
아쉬운 점
썬더볼트4 C 타입 포트만 있으므로 별도의 허브를 사용해야 함
P 프로세서 에 비하게되면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 (어차피 울트라북의 사용목적으로는 충분한 성능이긴 함)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
몇가지 아쉬운 점이 있긴 하지만, 델의 패밀리 룩으로서 XPS 9720, 9520 과 비슷한 외모의 XPS 형제의 막내이면서 그리고, 괜찮은 성능과 최고의 빌드퀄리티를 갖고 있어요.
윈도 노트북 중에서는 최고라 할 수 있는 외형 퀄리티에,
컴팩트 하면서 탁월한 디스플레이에 훌륭한 사운드
단지, 문제는 가격
하지만 그만큼 만족도도 크다
이 노트북은 주로 비즈니스 용도로 외부에서 사용하면서 간혹 가벼운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에게 알맞는 노트북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댓글